천문학
-
천체망원경 입문, 굴절 망원경과 반사 망원경의 비교 및 차이점천문학 2023. 10. 28. 16:47
천체망원경에 입문하는 데 있어서 굴절 망원경과 반사망원경에 대해 비교하여 알아보고 각각의 장점과 단점등, 차이점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굴절 망원경 (Refracting Telescope) 굴절망원경은 이미지 형성을 위해서 렌즈를 사용하는 광학 망원경 유형으로 초점거리를 통해 이미지를 형성합니다. 굴절망원경은 보통 다른 광학 장치에도 흔히 사용되는데 망원경 및 천체망원경뿐만 아니라 쌍안경, 줌렌즈, 망원렌즈, 장거리 카메라 렌즈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19세기 후반에는 큰 굴절 망원경이 크게 인기가 있었지만 연구 목적을 위해서는 대부분 반사 망원경으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굴절 망원경의 배율은 대상 렌즈의 초점거리를 안경 렌즈의 초점거리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굴절 망원경은 일반적으로 전면에 대..
-
베텔게우스 (Betelgeuse), 베텔게우스의 초신성 폭발천문학 2023. 10. 26. 01:39
초신성 폭발이 가까워졌다는 보도등이 나오며 현재 천문학자 및 천문학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핫한 별인 베텔게우스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베텔게우스(Betelgeuse)란 베텔게우스는 분광형 적색 초거성으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가장 큰 별들 중 하나입니다. 보통 밤하늘에서 열 번째로 밝으며 오리온자리의 알파성이지만 실제로는 리겔이 가장 밝은데 이는 베텔게우스가 변광성이라서 리겔보다 밝아질 때가 있기 때문입니다. 베텔게우스는 뚜렷하게 붉은색을 띠고 반규칙적인 변광성으로 분류되는데 이것은 밝기의 변화에서는 부분적으로 주기성이 보이지만 불규칙 기간이 있음을 뜻합니다. 큰 개자리의 시리우스, 작은 개자리의 프로키온과 함께 겨울의 대삼각형을 이루고 있고 이 세 개의 별은 지구에서 봤을 때 태양계 외부에..
-
1월 사분의자리 유성우, 8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12월 쌍둥이자리 유성우천문학 2023. 10. 25. 03:20
3대 유성우인 1월 사분의 자리 유성우, 8월 페르세우스 자리 유성우, 12월 쌍둥이자리 유성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월 사분의자리 유성우 (Quadrantid Meteor Shower) 사분의 자리는 매년 1월 초에 관측 가능한 유성우입니다. 원인이 되는 천체체는 소행성 2003 EH1으로 일반적으로 혜성의 남아있는 먼지와 운석과 관련이 있다고 추정됩니다. 이 유성우의 정점 시간당 비율(ZHR)은 8월의 페르세우스자리와 12월의 쌍둥이자리 유성우만큼 많을 수 있지만, 사분의 자리 유성은 정점 시간대가 굉장히 좁고 가끔은 몇 시간만 지속되고 평균 겉보기가 3.0에서 6.0 사이로 매우 희미하기 때문에 다른 두 유성우만큼 자주 관찰되지는 않습니다. 이 유성우의 복사점은 북두칠성에서 멀지 않은 별..
-
2023년 11월, 12월 천문현상, 유성우 관측, 별똥별 떨어지는 날천문학 2023. 10. 25. 01:32
2023년 11월, 12월에 일어나는 천문현상 중 주요 이벤트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1월, 12월은 특히 유성우 소식이 많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11월 11월 3일 (금): 밤하늘에서 달, 금성에 이어 세 번째로 밝게 빛나는 천체인 목성이 충에 위치하는 날로 평소보다 더 밝고 선명하게 보이는 날입니다. 올해 가장 밝게 (겉보기 등급 -2.9) 빛날 예정이며 육안으로도 목성을 관측하실 수 있고, 목성을 공전하는 갈릴레이 위성(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쌍안경 혹은 천체망원경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참고로 천문학에서 말하는 충은 행성이 태양과 지구 반대편에 있음을 뜻하는데, 우리의 관점에서 관찰 시 충에 있는 행성이 하늘의 태양과 정확하게 180도 떨어져 있으므로 ..
-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 제임스웹 망원경과 허블망원경과의 차이점천문학 2023. 10. 10. 14:15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에 대해 알아보고 제임스웹 우주망원경과 허블 우주망원경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이란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은 적외선으로 천문관측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진 우주 망원경입니다. 고해상도, 고감도 장비를 사용하여 매우 오래되거나 멀리 있는 희미한 천체를 관측할 수 있습니다. 이로서 최초의 별과 최초의 은하 형성을 관찰하고 잠재적으로 인류가 거주할 수 있는 외계 행성의 구체적 대기 분석등 천문학 및 우주론등 많은 분야에 걸쳐 조사가 가능합니다. 제임스웹이라는 망원경의 이름은 1961년부터 1968년까지 NASA의 관리자였던 제임스 E. 웹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제임스웹은 2021년 12월 25일 프랑스령인 기아나의..
-
지구 (지구의 탄생, 지구의 역사, 지구의 구조)천문학 2023. 9. 24. 18:08
지구란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세 번째 행성이며 생명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천체이고 이것은 태양계에서 지구가 액체상태의 물이 표면에서 유지되고 있는 유일한 행성이기 때문입니다. 지구표면의 70.8%를 덮고 있는 대양에 지구의 거의 모든 물이 포함되어 있고, 지구표면의 나머지 29.2%는 육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구의 탄생 지구의 탄생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론이 있으며 과학자들은 이러한 이론을 연구하고 검증하고 있습니다. 가장 많이 받아들여지고 있는 이론에 의하면 지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만들어졌습니다. 1. 태양의 형성 태양의 형성과 함께 지구의 탄생도 시작됩니다. 약 46억 년 전, 태양은 거대한 분자 구름 안에서 탄생한 별이었는데 중력의 작용으로 인해 구름은 압축되고 식어가며 태..
-
태양, 태양의 진화천문학 2023. 9. 21. 12:30
태양과 태양의 진화(적색거성, 백색왜성, 흑색왜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태양이란 태양은 태양계의 중심에 있고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으로 나이는 약 46억만 년입니다. 태양의 지름은 약 139만 2천 km로 지구보다 109배 길고 질량은 지구의 약 33배, 부피는 지구의 144만 배입니다. 태양계 전체질량의 약 99.86%를 차지하고 태양 질량의 약 75%는 수소, 나머지 25%는 대부분 헬륨이며 2% 미만이 산소, 탄소, 네온, 철 등과 같은 무거운 원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태양의 탄생 우주에서 성간물질은 대부분 가스 입자와 미립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성간물질은 주로 수소와 헬륨으로 구성되며, 수소가 대략 90%를 차지하고 헬륨은 10% 정도를 차지하며 무거운 원소도 약간 포함됩니다..
-
태양계천문학 2023. 9. 17. 00:16
태양계에 대해서 알아보고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 태양계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태양계란 태양계는 중력에 의해 끌려 있는 천체들의 집합체로, 이곳에는 태양과 그 주변을 공전하는 다양한 천체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천체들 중에서 가장 큰 것은 태양이며, 그 주변에는 여러 가지 다른 천체들이 움직이고 있습니다. 태양계의 행성으로는 소행성대를 기준으로 내측의 네 개의 고체 행성인 수성, 금성, 지구, 화성 즉 지구형 행성과 외측에 있는 네 개의 행성인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즉 목성형 행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암석 행성 암석 행성은 대부분 암석과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수성, 금성, 지구, 화성과 같이 고체 행성이 포함되어 있으며 지구형 행성이라고도 불립니다. 가스 행성 가스 행..